원격저장소 만들기
by 볼빵빵오춘기원격 저장소 만들기
- github(https://github.com/)에 로그인을 한다.
-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든다.
- Repository name : repository 이름
- public : 오픈소스로 만들겠다.
- pribate : 오픈소스로 하지않겠다.
- Add a README file :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readme.md 파일을 만들건지 여부이다. 만들려면 check해주면 된다.
원격저장소에 파일 올리기
1. 작업 디렉토리에 들어간다.
2. git init 초기화를 시켜준다.
3. 테스트할 파일을 만들고 add 후 commit까지 해준다.
4. github에서 첫 번째 줄을 copy해준다.
5. 현재 로컬 저장소에 원격저장소를 연결시킨다.
remote 주소는 해당 주소이다. remote주소는 길이가 때문에 origin이라는 별명을 부여하겠다라는 의미이다.
관습적으로는 origin이지만 origini말고 내가 다른 별칭을 붙여도 상관없다.
git remote add friend https://github.com/chungi21/gitfth.git
참고로 지울 때는
git remote remove friend // git remote remove 별명
6.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시킨다.
처음 한 번만 -u를 써서 하면되고 그 다음부터는 git push만 해서 코드를 원격에 올릴 수 있다.
연결시 username과 password를 물어보는데 이상하게 password는 난 참.. 기억이 잘안난다.
그럴 때는 token을 발급받아 토큰을 넣어줘도 된다.
7. 원격저장소에 잘 push 된 것을 확인한다.
+. 추가 push해보기
f1.txt를 수정 add, commit까지 해준 후 git push를 해준다.
'👩🏻💻 About 프로그래밍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vs Github (0) | 2024.08.29 |
---|---|
git 동기화 방법 (0) | 2024.08.28 |
github 소개 (0) | 2024.08.28 |
원격 저장소 생성 (0) | 2024.08.28 |
원격저장소 (0) | 2024.08.28 |
블로그의 정보
Hello 춘기's world
볼빵빵오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