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. 프로젝트 실행해보기
by 볼빵빵오춘기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33ao_cbhsU&list=PL93mKxaRDidECgjOBjPgI3Dyo8ka6Ilqm&index=6
1. src > main > java > com.cos.blog 밑에 test라는 패키지 생성
2. src > main > java > com.cos.blog > test > BlogControllerTest 클래스 생성
3. BlogControllerTest 에 아래와 같이 작성
@RestController public class BlogControllerTest { @GetMapping("/hello") public String hello(){ return "<h1>hello spring boot</h1>"; } }
4. 실행
5. 잘 작동하는지 확인

브라우저에 localhost:8080/hello 를 치면 위와 같이 화면에 뜬다.
참고
위에서 src > main > java > com.cos.blog 밑에 test라는 패키지 생성을 했다.
com.cos.blog 밑에 패키지를 생성한 이유는
스프링에서는 시작할 때 컴포넌트 스캔을 할 때 필요한 것들을 메모리에 로드를 하는데
우리가 처음에 패키지이름을 com.cos.blog로 만들었으므로 컴포넌트스캔 시 com.cos.blog이하 작업파일들만 스캔을 하게된다.
만약 com.cos밑에 test라는 패키지를 생성하게 된다면 스프링이 스캔하지 않아 정상작동하지 않는다.

블로그의 정보
Hello 춘기's world
볼빵빵오춘기